(해외직구) 해외배송시 영어주소 쓰는법
알리익스프레스, 아마존 등 해외쇼핑을 하다보면 영문주소를 써야합니다.
Address 1, 2가 뭔지, 아파트, 맨션, 빌딩의 동, 호수는 어떻게 쓰는지, State/Province/Region과 City의 차이는 뭔지 등 애매한 부분이 있어 글을 올립니다.
밑의 사진은 아마존에서 배송주소를 적는 부분인데, 보면서 설명하겠습니다.
Street address는 보통 2칸으로 나눠 쓰게 됩니다.
- 첫번째칸 (Address 1이라고도 부릅니다)을 쓰는 법은 아래를 참고하세요.
"건물번호, 도로명, 구, 군, 시, 국가" - 두번째칸 (Address 2)은 아래와 똑같이 쓰면 됩니다.
"동-호수, 건물명" 또는 "건물명 #동-호수" - 살펴보시면 우리나라 주소와 반대순서로 쓰면 되지요?
City는 도시 이름입니다. (예. 대전시, 서울시, 인천시, 대구시, 아산시 등)
State/Province/Region은 도 이름입니다. (예. 충청남도, 충청북도, 경기도 등)
대전시는 도에 속해있지 않지만, 쓸게없어서 그냥 City, State 둘다 대전으로 적었습니다.
Zip Code는 5자리 우편번호입니다.
Phone number는 폰번호를 쓰는 칸이며, 010-XXXX-ZZZZ는 +8210XXXXZZZZ가 됩니다.
이 중 Street address가 그나마 쓰기 어려운 칸인데요 ㅎㅎ
쓰는 방법은 사실 자유로우며, 배송해주는 분이 알아볼 수 있게만 적으면 됩니다.
바로 밑의 사진은 알리익스프레스에서 배송주소를 적는 부분입니다.
위는 가상주소 대성맨션 109동 5509호입니다.
State/Province/Region = 도 이름,
City/Department = 시 이름인데..
알리익스프레스는 이상하게 State/Province/Region에 도+시가 있고, City/Department에 시+구가 있네요.
알리 주소형식이 이상하지만, 배송기사가 헷갈리지만 않게 작성하시면 됩니다 ㅎㅎ
Street address 예시
위에서 말씀드렸듯이 쓰는 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Address 1 = "건물번호, 도로명, 구, 군, 시, 국가"
Address 2 = "동-호수, 건물명" 또는 "건물명 #동-호수"
예시.
Daejeon 또는 Daejeon-si 둘중 어떻게 써도 괜찮고, 아파트 동호수 적는것도 자유롭습니다.
네이버나 다음에서 "영어주소"를 검색하시면 쉽게 영문주소로 바꿀수 있어요.
결론
배송기사가 알아볼 수 있게끔만 적으시면 되겠습니다 ㅎㅎ